<p></p><br /><br /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현수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이 기자, 한덕수 전 총리가 된다면 두 번 국무총리를 하는 거네요. 당선인 왜 한덕수 총리로 마음이 쏠리는 건가요? <br> <br>한덕수 전 국무총리 하면 경제관료 출신, 통상 전문가, 한미 FTA 협상 등이 떠오르죠.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이 줄곧 '경제'를 강조해온 만큼 경제전문가 총리에 적합하다고 보는 겁니다. <br><br>한 전 총리는 전북 전주, 호남 출신이고요. <br> <br>김대중 정부때 초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냈고,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, 국무총리를 지낸 뒤 이명박 정부에서는 주미대사로 중용됩니다. <br> <br>경제관료 출신에 미국통으로 불리며 외교적 식견까지 갖춰 경제에 안보까지 챙길 수 있다고 평가를 받습니다. <br> <br>또 진보, 보수 진영을 넘나들면서 요직을 맡았다는 점도 특징인데요. <br> <br>특정진영의 사람이란 이미지가 약하고, 노무현 정부 때 총리 청문회를 통과한 적이 있는 만큼 민주당이 거대 야당인 상황에서 <br>청문회 통과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실제로 한 전 총리의 경우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 측 캠프에서도 영입을 시도했을만큼 내부적으로 '큰 흠이 없다'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당선인과 원래 인연이 있던 사람인가요? <br><br>제가 찾아보니 최근 공개적으로 조우한 건 지난달 대선 후보 당시 재경전북도민행사 때였는데요.<br> <br>제대로 인연을 맺은 건 윤석열 당선인이 정치 선언을 한 후 역대 경제부총리 등 경제 전문가들을 두루 만나 공부를 했을 당시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당시 한덕수 전 총리를 비롯해서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등도 만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> <br>최근 윤 당선인이 가장 자주 언급하는 이름이 한덕수 전 총리라고 합니다. <br> <br>실제로 한 전 총리는 인수위원장으로도 거론됐었습니다. <br> <br>안철수 위원장과 경합을 벌였던 인물로 윤 당선인이 상당히 신임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Q. 이 기자가 한 전 총리와 통화를 해봤다면서요? <br> <br>한덕수 전 총리, 조심스러워하면서 말을 아꼈는데요. <br> <br>그래도 총리 하마평에 오르는데 대해 부인하지 않았고, 적극적이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인사청문 검증에 동의했는지를 묻자 답하기 곤란해 했고요. <br><br>최근 당선인과의 연락하거나 만난적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고 했지만, 당선인과의 친분을 물으니 "적절할 때 말씀드릴수 있을거 같다 자주 만나거나 그런건 아니고 안면은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Q. 한 전 총리가 유력한 걸로 취재는 됐지만, 아직 발표난 건 아니니까요. 다른 후보군은 누가 있나요? <br><br>당선인이 갖고있는 선택지를 보면, 경제통이 1순위 입니다. <br> <br>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,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이 있고요. <br> <br>대선 때 함께했던 김한길, 박주선 전 의원도 거론됩니다.<br> <br>Q. 시청자 질문 들어와있는데, 새로운 인물이 안보인다는 지적이 있습니다?( 유튜브 : 프** )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은 소위 '깜짝인사'라고 하죠. <br> <br>스토리가 있는, 예상치 못한 인물을 기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. <br> <br>일을 가장 잘할 수 있는 사람을 쓰는데 집중하고요.<br><br>특히 윤석열 정부 첫 총리는 여소야대 국회 인준을 통과해야 일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안정감 있는 인사들이 거론되는 이유입니다. <br><br>Q. 김은혜 대변인은 발표 시기로 4월 초라고 해 왔었는데 빨라지는 분위기인가보죠? <br> <br>어제 김은혜 대변인, 이렇게 말했죠. <br><br>[김은혜 / 당선인 대변인](어제) <br>"4월 1일 만우절에는 인사 발표를 안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그래서 4월 1일을 넘길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 같긴 하지만요" <br><br>그런데 오늘 총리 후보로 꼽혀온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공식적으로 총리를 고사하며 거취를 정리했잖아요. <br> <br>당선인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사라졌고, 나머지 후보자들에 대해선 이미 검증이 이뤄지고 있었던 만큼 속도가 붙은것이고요. <br><br>날짜를 따져보면 당초 발표가 유력한 날짜는 다음달 3일 이었거든요. <br> <br>통상 토요일은 상대적으로 언론 주목도가 떨어져 중요발표를 안하는 경향이 있고요.<br> <br>4월 1일은 만우절이라 제외한다면, 제주4·3 추념식에 당선인이 참석할 수 있다는 변수도 있어서, 내일 발표 가능성이 높은 겁니다.<br> <br>Q. 안철수 인수위원장은 원래 총리로 유력하게 거론이 됐었나요? <br> <br>공동정부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단일화 단계서부터 국무총리 후보로 고려된 게 맞습니다. <br> <br>다만, 인수위원장과 국무총리 둘 다 맡을 수는 없을거란 인식이 내부에 있었고 안 위원장 본인도 총리보다는 향후 당권 도전에 더 관심을 보여왔는데요. <br> <br>그동안은 개인적으로만 의사표현을 했다면, 오늘 공개적으로, 대국민 메시지로 거취를 정리하게 된거죠. <br> <br>Q. 시청자 질문을 하나 더보죠. 안철수 위원장, 총리를 안하면 앞으로 뭐를 하는건지요? ( 유튜브 : 화**) <br> <br>경기지사 출마설도 불거졌지만 안철수 위원장이 오늘 직접 선을 그었고, 국민의힘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도 내년이라서 시간이 남아있는 상황이거든요. <br> <br>인수위원장직이 끝난 뒤에는 윤 당선인이 신설하겠다고 밝혔던 민관합동위원회에서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